2009.10.03
"희정당"은 왕이 가장 많이 머물렀던 실질적인 중심건물로
원래 "숭문당"이었으나 연산 2년(1496) 이름을 바꾸었다.
원래의 편전인 선정전이 비좁고 종종 국장을 위한 혼전으로 쓰이면서
침전이었던 "희정당"이 편전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단다.
1917년 화재로 소실 된것을 1920년 복구하면서 경복궁에 있는
"강녕전"을 옮겨 지었는데, 원래의 희정당은 누마루집(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집)이었고 마당에 연못도 있었단다.
지금의 "희정당"은 이 모습과 완전히 다르고,
원래의 강녕전과도 다르다니 아쉬운 마음이 든다.(관람금지구역)
뒤로 돌아가니 내부에 쪽마루와 카펫,유리창문,천장에 샹들리에 등이
설치되어 서양식으로 꾸며져 있다.
대신들과 국사를 논의하던 모습이 아른거리는 장소로
보물 제 815호로 지정되어있다.
잠시 "선정전"의 뒤뜰을 거닐며 왕의 고뇌를 상상도 해보고
"희정당"의 옆면을 보니 돌출된 창문이 보이는데
"간이 베란다"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든다.
희정당과 대조전 사이의 마당을 지나서
"선평문"을 들여다보니 "대조전"이 보인다.
대조전"은 창덕궁의 정식 침전으로 왕비의 생활공간이다.
1917년 원인모를 화재(일제의 고의적인 방화로 추정)로 소실되어
1920년에 경복궁의 침전인 "교태전"을 옮겨 지으면서 재구성 되었다.
궁궐의 복합적인 구성을 잘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부분이나,
소실된 창덕궁을 재건한다는 이유로 경복궁의 전각들이 헐리고 이전하면서
옛모습이 변질되어 "경복궁"과 "창덕궁"이 모두 훼손되었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임금이 주무시는곳이라 "용마루"가 없는것이 특이하며,
보물 제 816호로 지정되어있다.
바로 옆의 "흥복헌"은 1910년 마지막 어전회의를 열어 "경술국치"가
결정 되었던 비극의 현장이다.
건물들은 서로 통하도록 복도와 행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뒤로 들어서니 "빗물통"이 남아있어 흥미롭고
"후원"으로 들어가는 작은문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대조전" 뒤로도 복도와 행각으로 연결되고
가운데에 조그만 정원(?)이있고 괴석도 보인다.
뒤편 에는 3단의 계단식 정원이 간결하게 펼쳐지고
"경훈각"옆쪽 에는 아궁이가 보이는데 왕실에서는 땔감으로 숯을
사용했다고 한다.
"경훈각"도 날개채및 "희정당"과 복도와 행각으로 연결되어있고
중간에 마당을 두어서 적절한 공간배치가 이루어져있다.
"대조전"왼편으로 가니 하얀 타일기둥과 화덕 같은것을 갖추고 외부에
유리창이 달린 건물이 보인다.
부엌이다 목욕탕이다 의견이 분분한데 안내인이 "수라간"이란다.
그러고보니 연통도 있고 개수대도 있고 화덕도 보인다.
이곳 역시 서양식으로 개조되었고 청결을 위해서
하얀 타일과 하얀 페인트로 마감하고 바닥도 돌을 깔았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