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암사 1 2009.06.14 국내 최대의 와불이 있다는 "미암사"로 향했다. "서천-공주 고속도로"에 들어서자 네비게이션의 내차는 허공을 가로지르고있다. 1달전 업그레이드했는데 어찌된 일인가! 아뭏든 "맵피"에서"지니"로 바뀌고나서 고생이 심하다. 톨게이트에서 내려 4-40번국도를 따라가다가 "주정삼..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17
미암사 2 2009.06.14 중간쯤에는 함석집이 있고 그 옆에 느티나무가 높고도 넓게 가지를 뻗어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며, 나무와 지붕틈새로 보는 부처님의 모습이 진녹색의 신록과 어우러져 더욱 도드라져 보인다. 연못의 동자승이 들고있는 소원성취함지박에 던진 동전을 던지니 그대로 빨려들어간..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17
개태사 2009.06.14 대전으로 가는길에 "개태사"에 들렀다. 화엄종사원으로 고려태조 9년(936년) 후백제 정벌기념으로 창건된 고려시대 호국사찰로, 조선시대 퇴락한것을 1930년 "김광영"이 중건하여 "도광사"라 부르다가 다시 "개태사"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 쇠락한듯한 모습이 ..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17
보은1(삼년산성) 2009.05.31 출발전 네비게이션에 "삼년산성"을 입력하자 자꾸 "삼년산성 송어회집"으로 안내한다. 차가 산으로 간다더니 황당한일이 나에게도 발생하는구나..... 할수없이 네비게이션을 끄고 도로표지판을 보면서 "삼년산성"입구에 도달할수 있었다. 길을 오르자 나무사이로 "산성"이 살며시..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보은 2 (삼년산성) 2009.05.31 성곽은 경사면을 따라서 계단식으로 축조되어 있는데 윗부분이 둥그렇게 되어있는 단면이 있는걸로 보아서 둥그스런 윗모습이 아니었나하는 생각이든다. 산등성이로 이어지는 성곽은 조금 쇠락한 옛모습을 보여주는데 오른편 끊어진 부분이 "남문지"이다. 성곽에서 바라보니 ..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보은3(선씨종가) 2009.05.31 "삼년산성"구경을 마치고 장안면 화개리에 있는 중요민속자료 제 134호인 "보성선씨 종가"에 도착했다. 조선후기 전남 고흥을 본향으로 하는 만석꾼인 "보성 선씨"가 명당을 찾아 팔도를 누빈끝에 이곳에 정착하고 집을 지었다니 - 흥미롭다. 소나무숲을 지나서 들어가는데 밑둥에..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보은4(선씨종가) 2009.05.31 "행랑채"쪽으로 문을 나서니 작은 도시같이 길이 훤하게 뚫려있다. 안채,사랑채,사당의 3공간으로 구성된 집은 안담을 두르고 다시 바깥담으로 크게 둘러쌓아서 99칸집의 위용을 보여준다. 1919 - 1921년 개화의 물결을 배경으로 새로운 한옥의 완성을 시도한 점에서 학술적으로 중..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보은 5 (법주사) 2009.05.31 "서원리"굽은길을 돌아가는데 커다란 소나무가 길을 막는다. 가지마다 지지대를 받치고 힘겹게 서있는데 이나무가 천연기념물 제 352호인 "서원리 소나무"다. 수관너비는 동서로 23.8m 남북으로 23.1m 이며 수령은 600년으로 추정되는데, 정이품송과 내외지간이라는 전설이 있어 "정..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보은 6 (법주사) 2009.05.31 천왕문을 나서자 "팔상전"이 모습을 드러낸다. 국보 제 55호인 이탑은 유일한 목조 5층탑으로 높이가 22.7m 인데 정유재란때 불에 탄것을 선조 38년(1605)- 인조 4년(1626)에 완성하고 1968년에 해체 복원하여 지금에 이른다. 벽의 사방에 각면 2개씩 모두 8개의 "변상도"- 석가모니의 일생..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6.03
옥천1(이지당) 2009.04.19 옥천IC를 나와서 우회전하여 대전방면으로 가다가 환경사업소를 지나니 "이지당" 팻말이 보인다. 시골길의 작은 4거리여서 지나치기 쉬운데 작은 주차장이 있고 진입로가 잘 정비되어있다. 중간쯤 위치한 바위에 "이지당"이란 글씨가 선명하다. 눈을 들어 앞을보니 누각의 일부분.. 가족 여행/충청도구경 2009.04.24